본문 바로가기

기능툴/MAX9

MAX MAPPING2



드레그엔 드랍으로 슬롯을 복사할 수 있으나 문제가 발생한다. 드레그 엔 드랍으로 복사할경우 이름이 똑같으므로 반듯이 이름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드레그 엔 드랍으로 바꾸면서 swap를 선택하면 위의 속성이 없어지고 복사가 된다.
여기서 알아야 할것은 같은 사진을 넣어도 어떤 효과를 주느냐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주전가르 가리는 박스를 만들어 보자
4번째 슬롯에 시안색과 opacity를 30을주어 불투명도를 조절하자.
그리고 얼마나 투명한지 알기위해 background를 넣어보자.

굴절은 refraction 에서 준다. (P90)

Thin wall refration을 선택하여 굴절을 준다.



블러 효과를 주고 적용하면 유리의 효과를 더 줄 수 있다.



bump에 타일의 효과를 주어 효과를 80을 주면 유리의 격자 무늬를 볼 수 있다.



물결치는 유리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 노이즈 효과를 주었다.
주의 노이즈 효과는 size가 너무 크면 효과를 볼 수 없으니 작게 조절하여 물결무늬 효과를 줄 수 있다.



노이즈 타입은 3가지가 있는데 이를 조절하여 효과를 증대 시키거나 다른 느낌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노이즈를 이용하여 타일모양을 줄 만들 수 있다.
preset type를 조절하여 만들 수 있다.

advenced controls      색상을 조절
gap                           선두께 조절
color variance             색상의 갯수를 조절
fade variance              색상을 어둡게
holes                          구멍내기
rough                          선의 모양을 조절
ramdom seed             패턴을 수정



박스를만들어 에디트 매쉬를 주고 폴리곤을 선택한후 박스의 한면을 선택하면 면마다 아이디값이 틀린것을 알 수 있다.
박스를 만들어서 반사를 만들어 보자. 그런데 박스는 육면체여서 한쪽면만 반사를 줄 수가 없다.
그래서 플랫미러를 사용한다.
위에서 아이디 값을 기억하자.
그리고 슬롯에 플랫미러를 적용하고 apply to face with id에 사용할 아이디값을 입력하자.

타일에서 none를 선택하고 bitmap을 선택한후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면 타일뒤에 그림이 삽입된다.



타일 하나한에 사진을 넣고 싶을때는 타일에서 나누었던 조각(horiz count, vert count)만큼 그림속성에 들어가 나누어(tring) 주어야 한다.


타일을 만들고 타일속성에서 갯수를 나눈 다음 다시 타일 속성안에서 bitmap을 선택하고 나무무늬를 선택하면 마루모양의 느낌을 줄 수 있다. 

박스에 사진을 넣고 박스의 크기를 변경하면 사진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사진이 늘어나지않게 고정하여 사진을 반복시키는 것이.uvw map이다.


uvw map를 이용해서 틀어진 맵 좌표를 잡아주어 정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기능툴 > MAX9'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X_LIGHT  (0) 2010.05.31
MAX MAPPING3  (0) 2010.05.26
MAX MAPPING  (0) 2010.05.24
Max Loft  (0) 2010.05.03
MAX Bevel  (0) 2010.04.26